청약은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가장 현실적인 내 집 마련 방법입니다.
하지만 당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청약 가점제’,
어떻게 계산하는지 몰라 포기하는 경우도 많죠.
이번 글에서는 가점 계산 공식과 당첨 가능성 체크 방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 1. 청약가점이란?
- 민영주택(공공제외) 청약 시, 무주택 실수요자를 우선으로 당첨시키는 제도
- 총점 84점 만점,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확률도 상승
- 적용대상: 민영주택 일반공급, 수도권 인기 지역 대부분 적용
🧮 2. 청약가점 계산법 : 3가지 항목
항목최대 점수기준
무주택 기간 | 32점 | 1년 2점씩 최대 16년 |
부양가족 수 | 35점 | 본인 외 배우자, 자녀, 부모 등 |
청약통장 가입기간 | 17점 | 1년 1점씩 최대 17년 |
예시 계산
- 무주택 기간: 10년 → 20점
- 부양가족: 3명 → 20점
- 청약통장: 6년 → 6점
→ 총 46점
📝 팁: 부양가족은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재돼 있어야 인정됩니다!
📊 3. 실전 가점표 요약
총점대당첨 가능성주로 필요한 조건
60점 이상 | 매우 높음 | 다자녀, 장기 무주택, 통장 10년+ |
50점대 | 중간 | 신혼부부 + 자녀 1~2명 |
40점대 | 낮음 | 무자녀, 독신 가구 등 |
30점 이하 | 매우 낮음 | 가점보단 특별공급 노려야 |
📈 4. 최근 당첨 커트라인 (서울·수도권)
- 서울 강남권 (둔촌주공 등) : 65~72점
- 수도권 신도시 (3기): 50~60점
- 지방 광역시: 40점대도 당첨 사례 있음
📝 참고: LH, HUG 등 청약홈 사이트에서 지역별 당첨내역 확인 가능
🎯 5. 내 점수로 어디 가능할까?
점수대추천 전략
60점 이상 | 수도권 인기지역, 분양가 낮은 아파트 도전 |
50점대 | 수도권 외곽, GTX 라인 주변 등 |
40점 이하 | 특별공급(신혼, 다자녀) 적극 활용 or 지방 청약 고려 |
💡 6. 가점 낮은 사람의 전략은?
- 신혼부부, 생애최초, 다자녀 등 특별공급 활용
- 청약통장 기간 늘리기 + 무주택 유지
- 사전청약, 지방소도시 청약 등 경쟁률 낮은 지역 공략
'부동산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동산 기초 용어 해설 시리즈》 8편: 부동산 중개보수 계산법 – 매매·전세·월세 수수료 쉽게 정리 (2) | 2025.04.25 |
---|---|
🏠 《부동산 기초 용어 해설 시리즈》 7편 : 재건축 vs 재개발 – 차이점과 투자 시 주의할 점 (1) | 2025.04.25 |
🏠 《여름 부동산 가이드》 5편 : 여름철 부동산 실전 Q&A – 이사·계약·점검까지 한눈에! (2) | 2025.04.25 |
🏠 《여름 부동산 가이드》 4편 : 여름철 단기임대 & 쉐어하우스 수요 분석 – 시즌별 주거 전략 가이드 (3) | 2025.04.25 |
🏠 《여름 부동산 가이드》 3편 : 전셋집 계약 전 여름철 점검 항목 – 이럴 땐 피하세요!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