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 생활경제

💰 2편. 한국은행 vs 기획재정부 - 환율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인생라떼 2025. 7. 2. 06:53
728x90
SMALL

📉 같은 숫자, 다른 셈법

같은 날, 같은 환율 그래프.
그런데 한국은행은 얼굴을 굳히고,
기획재정부는 조용히 안도합니다.

 

왜 그럴까요?

 

한쪽은 물가와 금리,
다른 한쪽은 수출과 고용을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 한국은행 – 물가 안정과 통화가치 방어가 우선

한국은행의 목표는 단 하나,
**“물가와 금융시장의 안정”**입니다.

  • 환율이 오르면 = 수입물가 상승 → 물가 전반 상승 압력
  • 특히 원유, 곡물, 반도체 장비 등 기초 수입재 가격 급등
  • 결국 금리 인상 압력, 소비 위축, 경기 냉각 우려

그래서 한은은 원화가 약세로 급격히 쏠릴 땐
적극적인 금리 카드 또는 환시 개입 요청을 검토합니다.

 

🔍 실제 사례:
2022년, 미국발 긴축 시기
→ 환율 1,440원 돌파
→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을 ‘디플레이션 방지용’으로 추진


💼 기획재정부 – 수출 활력과 기업 경쟁력이 먼저

기재부는 환율을
**“국가 경쟁력과 수출 경기의 체온계”**로 봅니다.

  • 환율이 너무 낮아지면 = 수출기업 수익성 악화
  • 고환율은 수출단가 유지에 유리 → 무역수지 흑자 견인
  • 지나친 환율 하락(원화 강세)은 국가 경쟁력 약화로 우려

그래서 기재부는
**너무 급격한 환율 하락 시엔 ‘구두 개입’**이나
외환시장 안정조치(= 달러 매수)로 속도 조절에 나섭니다.

 

🔍 실제 사례:
2019~2020년, 원화 강세
→ 수출 경기 둔화 우려
→ 기재부는 "과도한 변동성 경계" 발언
→ 외환시장 개입 인정 보고서도 제출


⚖️ 한 나라, 두 방향 – 갈등인가, 균형인가?

이 두 기관은
역할과 철학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환율을 정반대의 관점에서 해석
합니다.

항목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기본 목표 물가 안정 / 통화가치 방어 수출 확대 / 경기부양
환율 상승 시 인플레 경계 / 금리인상 압력 수출 유리 / 무역 흑자 기대
환율 하락 시 물가 안정 기대 수출 둔화 우려 / 개입 검토
대응 수단 금리 정책, 유동성 조절 외환시장 개입, 정책 신호 조정
 

🔍 외부 요인 앞에서는 연합하지만…

2022년~2023년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기처럼
외환시장 전체가 흔들릴 땐
한국은행과 기재부 모두
‘시장 안정’이라는 공동 목표로 조율에 나섭니다.

 

하지만 정상 상황에선
통화당국 vs 재정당국의 전략 온도차가 계속 존재합니다.


💬 정리하면:

환율은 ‘정답’이 없습니다.
어떤 쪽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위기일 수도,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은 “올리자”고 말하고,
기획재정부는 “그게 꼭 나쁘진 않다”고 답합니다.

 

이 두 시선 사이의 긴장과 타협 속에서
한국의 환율 전략은 흔들리지 않고 균형을 찾아갑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