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안녕하세요,
'부동산 임대수익 만들기' 시리즈 여섯 번째 이야기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임대수익률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단순한 숫자 계산이 아니라, 진짜 수익을 보는 눈을 함께 키워보죠.
1. 명목 수익률 vs 실질 수익률
구분설명
명목 수익률 | 연 임대료 ÷ 매입가 × 100 |
실질 수익률 | (연 임대료 - 제반비용) ÷ 총투자금 × 100 |
💡 Tip:
표지만 보면 속기 쉽습니다. 반드시 실질 수익률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2. 실질 수익률에 포함해야 할 항목
- 공실 리스크 (1년 중 1~2개월 비워둘 수 있음)
- 수리비용 (입주 전 도배·장판 등)
- 취득세, 중개수수료, 인테리어 비용 등 초기비용
- 매년 납부하는 재산세, 종합소득세
👉 이 모든 비용을 고려한 '순수익 기준'으로 계산해야 진짜 수익이 보입니다.
3. 실전 예시 (단순화 버전)
makefile
복사편집
매입가: 1억 원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50만 원 연 임대료: 600만 원 공실 감안: 1개월 → 연수익 550만 원 기타 비용(세금, 관리비 등): 연 100만 원 총투자금 = 9,000만 원 실질수익률 = (550 - 100) ÷ 9,000 × 100 = 약 5%
4. 목표 수익률은 어느 정도여야 하나?
- 실투자금 기준 연 4~6% 이상이면 양호
- 고금리 시대 기준으로는 6% 이상이면 우수
💡 Tip:
‘은행 예금보다 나은가?’
‘위험 대비 충분한 보상인가?’
이 두 가지 질문으로 기준을 잡자!
📌 Check List: 오늘의 핵심 정리
- 수익률 계산은 ‘실질 기준’으로 해야 정확하다
- 공실, 수리, 세금 등 제반 비용을 반드시 반영하자
- 연 5~6% 실질 수익률이면 우수한 편
- 단순한 명목 수익률에 속지 말자!
📢 다음 편 예고
7편. 부동산 임대 실패 사례 분석
– 공실 장기화, 세입자 연체, 대출 과다 등
– 실전 사례로 보는 '하지 말아야 할 투자' 정리!
👉 [구독]과 [좋아요] 를 눌러주세요!
다음 편에서는 실제 실패한 사례를 통해 배우는 경고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728x90
LIST
'재테크 &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대 사업의 리스크와 대처법 – 수익형 부동산, 이렇게 지켜라 (0) | 2025.05.01 |
---|---|
🏚️ 부동산 임대 실패 사례 분석 – 하지 말아야 할 선택들 (0) | 2025.05.01 |
🏠 상가 투자로 월세 수익 올리는 방법 – 공실 줄이고 수익 키우는 실전 전략 (0) | 2025.05.01 |
🏠 전세계약서 특약 문구 5종 세트 (4) | 2025.04.30 |
🏠 소형 부동산으로 시작하는 임대수익 – 원룸·오피스텔부터 차근차근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