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 숫자로는 충분해 보이는 ‘제도’
정부는 보호종료아동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도명, 내용
자립정착금 | 평균 1,000만 원 일시 지급 (지자체별 상이) |
자립수당 | 월 30만 원 × 최대 36개월 |
주거지원 | 전세금 지원, 커뮤니티하우스 입주 |
직업훈련 | 고용노동부 연계 직무훈련 프로그램 등 |
그러나, 문제는 **“지속성”**과 **“도달률”**입니다.
🚧 한계 1: 단기성, 일회성 지원
- 자립정착금은 일시금으로 보증금 등 초기 비용에 사용되지만
이후의 월세, 생활비, 의료비에는 대응하지 못함 - 자립수당 30만 원도
월세, 식비, 통신비로는 빠듯해
실질적 자립에 도움 되기 어려움
📉 한계 2: 수혜 대상의 낮은 도달률
- 자립수당 신청률이 70% 수준에 머무름
→ 정보 부족, 신청 방식의 복잡함 - 직무훈련 참여율 저조
→ 고졸 학력 한계, 생계 우선 순위 등으로 이탈
“제도가 있다는 건 나중에 알았어요.
그땐 이미 신청기한이 지났더라고요.”
– 퇴소 후 2년 차 청년
⚖️ 한계 3: 제도의 형식화
- 커뮤니티하우스 입주자 수 < 수요자 수
- 멘토링 프로그램도 기간 종료 후 연결 단절
- 직업 연계 프로그램도 단기 파견형 위주
즉, 지속적 연결 구조가 없는 단절형 시스템입니다.
🧭 개선의 방향
- 지속형 멘토링 프로그램 확대
- 주거+직업+심리상담 통합형 모델 필요
- 정보 접근성과 신청 간소화 개선 시급
📌 다음 편 예고
4편. 교육의 기회 – 대학진학, 장학금, 대안교육
– 제도의 공백을 메우는 실질적 교육지원 사례들
728x90
LIST
'100세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가 아닌 홀로서기》 취업·창업– 성공한 자립청년들의 이야기 (4) | 2025.06.27 |
---|---|
《혼자가 아닌 홀로서기》 교육의 기회– 대학 진학, 장학금, 대안교육으로 이어진 희망의 사다리 (13) | 2025.06.26 |
《혼자가 아닌 홀로서기》 18세 이후, 무엇이 사라지는가– 돌봄도, 연결도 사라진 사회적 단절의 시작 (1) | 2025.06.26 |
《혼자가 아닌 홀로서기》 보호종료아동이란 누구인가 – 자립준비청년의 첫걸음 (7) | 2025.06.26 |
🕊️ 다시, 사람다움을 배우다– 교양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민사회 이야기 (25) | 2025.06.26 |